수술 후 회복 & 재활 운동/회복 단계별 가이드

족저근막염 수술 후 회복 기간과 효과적인 발 스트레칭 방법

헬씨해 2025. 2. 15. 06:35
728x90

족저근막염 수술은 비수술적 치료(물리치료, 주사요법 등)로 효과를 보지 못한 경우, 족저근막의 긴장을 줄이거나 손상된 조직을 제거하기 위해 시행됩니다. 수술 후 회복을 위해서는 적절한 재활 운동과 발 스트레칭을 통해 발바닥 근막의 기능을 회복하고 통증을 완화해야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족저근막염 수술 후 회복 기간과 효과적인 발 스트레칭 방법을 자세히 소개합니다.

족저근막염 수술 후 회복 기간

1. 회복 기간의 주요 단계

  • 입원 초기 회복기 (0~2주): 통증 및 부종 관리, 발 보호 및 고정
  • 중기 재활기 (2~6주): 발 스트레칭 및 가벼운 근력 강화 운동 시작
  • 장기 재활기 (6주~3개월): 발 기능 회복, 일상생활 복귀 준비
  • 완전 회복기 (3개월 이상): 가벼운 스포츠 활동 및 정상 생활 가능

2. 평균 회복 시간

  • 일상생활 복귀: 약 4~6주 후 가능
  • 가벼운 운동 시작: 수술 후 약 6~8주 후 가능
  • 격렬한 운동 복귀: 약 3~6개월 이후 가능 (의료진과 상담 필요)
  • 주의: 회복 속도는 개인의 건강 상태와 수술 범위,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.

족저근막염 수술 후 효과적인 발 스트레칭 방법

1. 초기 회복기 (수술 후 0~2주)

1) 발가락 스트레칭 (Toe Stretch)

  • 방법: 앉은 상태에서 발가락을 손으로 부드럽게 당겨줍니다.
  • 발바닥 근막을 부드럽게 늘려줘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.
  • 10초간 유지 후 천천히 풀어줍니다. 하루 2~3회 시행합니다.

2) 발목 펌프 운동 (Ankle Pump)

  • 방법: 침대에 누운 상태에서 발목을 위아래로 천천히 움직입니다.
  •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부종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.
  • 하루 3~4회, 회당 10~15회 반복합니다.

3) 냉찜질 (Cold Therapy)

  • 방법: 얼음 팩을 수건에 싸서 발바닥에 10~15분간 대줍니다.
  • 하루 2~3회 시행하여 통증과 부종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2. 중기 재활기 (수술 후 2~6주)

1) 수건 스트레칭 (Towel Stretch)

  • 방법: 수건을 발바닥에 걸고 두 손으로 양 끝을 잡아 천천히 당깁니다.
  • 발바닥 근막과 종아리 근육을 늘려줍니다.
  • 10~15초간 유지하고 5회 반복합니다.

2) 발바닥 공 마사지 (Foot Roller Exercise)

  • 방법: 골프공이나 작은 마사지 볼을 발바닥 아래에 놓고 앞뒤로 굴립니다.
  • 족저근막을 부드럽게 자극하고 근육 긴장을 풀어줍니다.
  • 하루 2회, 회당 5~10분 정도 시행합니다.

3) 종아리 스트레칭 (Calf Stretch)

  • 방법: 벽을 손으로 짚고 한쪽 발을 뒤로 빼서 무릎을 펴고 발뒤꿈치를 바닥에 붙입니다.
  • 종아리 근육을 늘려 족저근막의 긴장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각 다리당 15~20초간 유지하며 3회 반복합니다.

4) 앉아서 발목 회전 운동 (Seated Ankle Circles)

  • 방법: 의자에 앉아 발목을 시계 방향, 반시계 방향으로 천천히 회전시킵니다.
  • 각 방향으로 10회씩 반복하며 발목의 유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3. 장기 재활기 (수술 후 6주~3개월)

1) 계단 스트레칭 (Stair Stretch)

  • 방법: 계단 가장자리에 발 앞부분을 올려두고 발뒤꿈치를 천천히 내립니다.
  • 발바닥과 종아리 근육을 동시에 스트레칭할 수 있습니다.
  • 10~15초간 유지 후 3회 반복합니다.

2) 밸런스 운동 (Balance Exercise)

  • 방법: 한 발로 서서 균형을 잡는 연습을 합니다.
  • 밸런스 보드를 사용하면 발목 근력과 균형 감각을 더욱 강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처음에는 벽을 잡고, 점차 손을 놓고 균형을 잡습니다.

3) 저강도 유산소 운동 (Low-Impact Aerobic Exercise)

  • 수영 및 고정식 자전거 타기: 발에 무리 가지 않으면서 근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  • 걷기는 평평한 길에서 천천히 시작하고, 발 통증이 없는 선에서 진행합니다.

4. 완전 회복기 (수술 후 3개월 이후)

1) 점진적인 운동 강도 증가

  • 걷기 속도와 거리를 점차 늘립니다.
  • 의료진과 상담 후 가벼운 조깅이나 스포츠 활동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.
  • 운동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유연성을 유지합니다.

2) 재발 예방을 위한 생활 습관

  • 적절한 신발 착용: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쿠션이 좋은 신발을 선택합니다.
  • 체중 관리: 발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합니다.
  • 서있는 시간 조절: 장시간 서있거나 하중을 많이 받는 활동을 줄입니다.

결론

족저근막염 수술 후 회복 기간 동안 적절한 발 스트레칭과 체계적인 재활 운동을 통해 발바닥 근막의 기능을 정상화하고 통증을 줄일 수 있습니다. 단계별 운동법을 통해 점진적으로 발의 가동 범위를 넓히고 근력을 강화하며,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재발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무엇보다 의료진의 지침을 잘 따르고, 자신의 상태에 맞게 운동 강도와 시간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
728x90